- 고다 하우다 (Gouda) 바시론 (Basiron) 올리브 토마토 (Olive Tomato⋯
- 알알알 나뚜나뚜 (RRR Naatu Naatu) - 오랜만에 들어보니 매우 달라져 있는 볼⋯
- 조스캥 데 프레 - 샹송 '천번의 후회' (Josquin des Prez, chanson ⋯
- 여성과 사회 International Women's Day 2023
- 아플 때 음식 챙겨 준 분, 더럽게 고맙고 두고두고 기억 나
-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Wer nur den lieben Gott läßt walten⋯
- 렌즈 몇 개 만져 봤다고 기고만장해져 시부 팔순 때 사진사 자처했다 폭망
- 영화 '테넷'(TENET) (2020), 존 타브너 '어린 양' (John Tavener ⋯
- 영화 '헤어질 결심' - 마침내 먹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 음식
- 명절음식 단상
- 파운드 케이크 - 영국 케이크의 기본
- 개성 있는 풍미의 내추럴 커피 natural (unwashed, sun-dried) cof⋯
- 인간의 바람이자 염려, 인공지능(AI)
- [액자] 여인과 떡볶이
- 푸드 블로그와 2023년
- 놀라운 개, 보더 콜리 Border Collie
- 2022년을 한 시간 남겨 두고
- 노래의 힘
- 심금을 울리던 일렉 기타 솔로들
- 독일 리터 스포트 슈포트 초콜릿 Ritter Sport Chocolates
- 달빛, 초승달, 선교사, 테레민 Clair de Lune, Crescent, Mission⋯
- 크리스마스 선물로 캐논 EF-S 24mm f/2.8 STM 렌즈를 받은 단단, 테라로사 포⋯
cloudspotter
솜 전투 100주년 The Battle of the Somme, Bataille de la Somme, Schlacht an der Somme 본문
솜 전투 100주년 The Battle of the Somme, Bataille de la Somme, Schlacht an der Somme
단 단 2016. 7. 1. 00:00
솜 전투 참전 용사였던 아이작 로젠버그가 참호에서 쓴 시.
© Bernard Wynick and Shelley Swade, British Library.
BREAK OF DAY IN THE TRENCHES
Isaac Rosenberg
The darkness crumbles away.
It is the same old druid Time as ever,
Only a live thing leaps my hand,
A queer sardonic rat,
As I pull the parapet's poppy
To stick behind my ear.
Droll rat, they would shoot you if they knew
Your cosmopolitan sympathies.
Now you have touched this English hand
You will do the same to a German
Soon, no doubt, if it be your pleasure
To cross the sleeping green between.
It seems you inwardly grin as you pass
Strong eyes, fine limbs, haughty athletes,
Less chanced than you for life,
Bonds to the whims of murder,
Sprawled in the bowels of the earth,
The torn fields of France.
What do you see in our eyes
At the shrieking iron and flame
Hurled through still heavens?
What quaver – what heart aghast?
Poppies whose roots are in man's veins
Drop, and are ever dropping;
But mine in my ear is safe –
Just a little white with the dust.
☞ 분 단위로 자세히 기록한 1916년 7월 1일의 솜 전투 전개 상황
1. 시간을 의인화한 영어 표현 "시간의 아버지(Old Father Time)"에서 "Father"를 고대 켈트족의 드루이드교 사제 "Druid"로 치환. 동틀 무렵 인간을 죽여 제물로 바치는 관습이 있었다.
'영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코어 영국 (0) | 2016.09.14 |
---|---|
영국인들이 생각하는 기품 있는 사람의 특징 Signs of A Classy Man and Woman (0) | 2016.08.25 |
리우 올림픽 중계를 보면서 (0) | 2016.08.20 |
스핏파이어 Spitfire (9) | 2016.07.07 |
민주주의와 대중 (0) | 2016.06.27 |
누리터에 떠돌고 있는 브렉시트 원인 분석 (0) | 2016.06.24 |
일주일도 안 남은 브렉시트 찬반 투표 (0) | 2016.06.19 |
영국의 기후가 영국인들의 미감에 미치는 영향 ② 화장품 (7) | 2016.05.14 |